동적(dynamic) 웹페이지
동적 웹페이지를 구성하는 데에는 웹 서버 + 웹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하다.
동적 웹페이지는 정적 웹페이지와 반대로 접속할 때마다 다른 리소스를 건네주는 웹페이지를 말한다.
예를 들어 글 10개가 있는 게시판이 HTML 파일로 진열돼 있다.
그런데 누가 글을 하나 더 올리면,
그때마다 개발자가 글이 열 한 개 있는 페이지를 새로 코딩해서 진열할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서버가 그때그때 요구사항에 맞게 가공해서 전달해야한다.
다시 말해
동적 웹페이지는 접속 시마다 내용이 변화해야 하는 사이트 예를 들어 댓글, 날씨 등 데이터의 변화가 많은 곳에서 사용된다.
정적(static) 웹페이지
정적 웹은 말 그대로 움직이지 않는,
언제 접속해도 같은 리소스를 건네주는 웹 사이트를 말한다.
정적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서버는 마치 진열대에 놓은 상품처럼
이미 프로그래머가 작성해놓은 HTML, CSS, Javascript 파일들을 그대로 클라이언트
브라우저에 건네준다.
그럼 여기서 질문이 생긴다 정적 웹사이트는 접속할 때마다 매번 같은 화면이 보이는 게 정적 웹사이트 인가?
꼭 그렇지 않다.
예를 들어 현재 날짜와 시간을 표시하는 페이지도 있고, 랜덤 함수로 매 번 다양한 화면을 보여주는 페이지도 있고, 서버에 직접 추가 정보를 요청해서 받아온 내용들을 보여주기도 한다.
모두 자바스크립트로 구현하는 기능들이다.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도 Javascript로 쓰인 소스를 보고 스스로 변화(동적) 할 수 있다.
결국 정적 웹의 기준은 접속할 때마다 받게 되는 HTML, CSS, Javascript, Img, 동영상 등의 파일들이 이전에 접속했을 때와 같은가 이다.
조금 더 정확히는 서버에서 매번 가공해서 제공하는 게 아니라 프로그래머가 작성해서 갖다 준 제품들이 진열되어 있는 걸 그대로 가져가게 하는 것
즉 접속 시마다 내용이 변할 필요가 없는 사이트들 예를 들어 어떤 회사의 소개 페이지라던가 댓글 기능이 없는 블로그 페이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